-
미국 30년 국채 ETF와 국고채 30년 ETF는 장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 ETF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하여 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
미국채권ETF vs 국내채권 ETF 비교 추천 미국국채 ETF vs 국고채 ETF 비교
미국 30년 국채 ETF는 미국 정부가 발행한 30년 만기 국채에 투자하는 상품이고, 국고채 30년 ETF는 한국 정부가 발행한 30년 만기 국채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두 ETF 모두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각각의 시장 환경과 수익률은 다를 수 있습니다.
구분 미국국채 ETF 국고채 ETF 투자 대상 미국 정부 발행 국채 국내/해외 정부 및 공공기관 채권 신용 위험 매우 낮음 상대적으로 다소 높음 수익률 낮음 다소 높음 환율 위험 있음(달러 환율 변동 영향) 적음(국내 원화 기준) 유동성 매우 높음 양호 투자 목적 안전자산, 달러분산투자 안정수익, 국내 채권 노출 확대 미국30년국채액티브, 국고채30년액티브 ETF 비교
국내 상장된 미국국채 ETF는 대표적으로 ACE,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가 있으며 국공채 ETF는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KIWOOM 국고채 30년액티브 ETF가 있어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ETF별 순자산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하며 ETF에 대한 안정성이나 선호도를 반영해주는 지표입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20,138억) >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 (5,582억원) > KODEX 미국30국채액티브(H) (4,342억원) > KIWOOM국고채30년액티브 (584억원)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2. ETF별 배당률 비교
주식, 채권 등 각 ETF의 기초자산을 운용하면서 발생한 배당, 이자 등 고정적 수익을 ETF 투자자에게 분배하는 것을 분배금이라 한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4.07%) >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3.97%) > KIWOOM국고채30년액티브 (1.49%) , KODEX 미국30국채액티브(H) (X)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3. ETF별 수익률 비교 (3개월)
ETF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익률입니다. 각 운용사별로 수익률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IWOOM국고채30년액티브 (5.03%) >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H) (4.32%)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1.48%) >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1.27%)
KIWOOM 국고채30년 액티브 4. ETF별 수익률 비교 (12개월)
ETF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수익률입니다. 각 운용사별로 수익률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IWOOM국고채30년액티브 (22.6%) >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H) (21.3%)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1.05%) >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5.08%)
5. ETF별 수수료
국고채 ETF 종류별 수수료는 크게 총보수, TER, 실비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실비용을 보시면 됩니다.
KIWOOM국고채30년액티브 (0.064%) > KODEX 국고채30년액티브(H) (0.077%) > KODEX 미국30년국채액티브(H) (0.120%)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0.153%)
KODEX 국고채30년 액티브 6. 국고채 ETF 구성종목 /섹터비중
국고 ETF 종류별로 크게 구성종목 10개까지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30년국채액티브는 TLT, VGLT등 미국장기채에 투자되어 있고, 국고채 ETF는 국고 채권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결론 및 ETF 추천
미국국채ETF, 국고채 ETF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하지만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하므로, 투자 시 유의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알아본 각 운용사별 미국30년국채 ETF를 비교해보면 총 순자산규모나 수익률 측면에서는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상품이 나은 것으로 보이며, 국고채30년 ETF를 비교해보면 총 배당율, 수익률, 수수료 측면에서는 KIWOOM 국고채30년액티브 상품이 나은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까지 실적으로 보면 미국30년국채 ETF보다는 국고채30년 ETF가 더 좋은 상품으로 보여집니다.
결론 및 추천
미국 30년 국채 ETF와 국고채 30년 ETF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라면 두 ETF 모두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ETF의 특징과 시장 상황을 잘 분석한 후에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